
한국인의 솔푸드 떡볶이현재 우리가 좋아하고 즐겨먹는 대표 간식 떡볶이는 해방과 6.25전쟁 등을 거치며 탄생하였습니다. 조선 말기 규곤오람과 시의전서, 음식다방에서도 떡볶이가 언급되었으며 여기서 나오는 떡볶이는 간장으로 간을 하며 고기와 채소가 들어가는 궁중떡볶이로 간장에 고기, 채소와 볶은 떡을 버무려 먹는 당시 기준으로 상당히 고급 요리였다고 합니다. 떡볶이란 명칭은 일제강점기에 처음 사용된 것으로 추측되고 있는데 이유는 일제강점기 노래인 '오빠는 풍각쟁이'에서 떡볶이란 명칭이 직접적으로 언급되었습니다. 물론 떡볶이란 명칭이 없던 그 이전에는 떡찜, 떡 전골, 떡 잡채 등으로 불렸다고 합니다. 빨간떡볶이의 창시자1953년 서울 신당동에서 신당동 떡볶이로 유명한 마복림 할머니가 고추장 떡볶이를 고안하..

냉면일까? 국수일까?냉면은 주로 메밀이나 전분, 밀로 만든 면을 차가운 육수에 말아 먹거나 양념에 비벼 먹는 음식을 칭합니다. 냉면의 발생지인 북한에서는 일반적인 냉면을 모두 국수라고 합니다. 현재 북한에서도 "랭(냉) 면"이라 칭하는 것은 평양식 국수의 다른 말인 "평양 랭(냉) 면" 뿐입니다. 평안도, 황해도 일대에서 가장 많이 먹었던 국수의 형태가 바로 냉면이었기 때문입니다. 함경도는 함흥냉면의 원형인 농마국수를 국수라 부르며, 강원도는 가장 먼저 막국수를 떠올립니다. 이남지방인 경기, 충청, 전라, 경상권에서는 잔칫날에 먹는 국수가 가장 대중적이었기 때문에 국수라 하면 잔치국수를 떠올립니다. 여기까지가 냉면이고 여기서부터는 국수다의 정의는 없습니다. 다만 지역적 특색에 따라 불리는 이름이 다를 ..

쫄면의 탄생 비화굵직하고 탄성이 강한 면발에 콩나물, 양배추, 당근, 오이 등 채소를 넣고 초고추장 소스를 넣고 비벼 먹는 요리 대한민국 분식집이나 식당에서 흔하게 맛볼 수 있고 어딜 가나 비슷한 맛의 쫄면 아는 맛이 무섭다는 표현이 절로 나오는 국민간식 쫄면입니다. 쫄면의 기원은 1970년대 인천 중구의 광신제면에서 비롯됐다는 주장이 있습니다. 광신제면에서 냉면을 뽑다가 실수로 사출 구멍을 잘못 사용하여 굵은 면발이 나왔습니다. 이를 버리기 아까워 이웃 분식집에 공짜로 줬고 분식집 주인은 이면에 채소 고명과 고추장 양념을 올려 판매한 게 시초라는 주장이 흔히 쫄면의 유래로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냉면을 뽑다가 실수라고 하기에는 주원료나 배합비율이 달라서 믿기가 어렵다는 주장도 있습니다. 일반적인 ..

콜드체인의 진보가 가져온 세계화19세기부터 20세기에 걸쳐 미국의 주도 아래 대중문화와 인류의 식생활은 크게 바뀐다. 1960년대 콜드체인(저온 유통 기구)으로 거의 모든 재료를 1년 넘게 보존 가능하게 되었다. 신선하게 냉동된 식자재가 전 세계로 뻗어 나간다. 정보통신 기술의 진보는 음식 정보를 교환하게 만들었고, 음식의 브랜드화가 진행된다. 인스턴트, 레토르트, 통조림, 진공팩 등이 등장한다. 냉장기술의 결점을 극복하는 급속 냉동 기술이 개발된다. 냉동 기술을 개발한 클래런스 버즈 아이는 특허를 내고 냉동식품 회사를 설립해 연간 500톤의 냉동식품을 제조하는 회사로 성장했고 세계 최대의 식품회사가 된다. 각 가정에는 냉장고가 충분히 공급되지 않아 기업이나 단체급식 용도로 쓰였다. 제2차 세계대전 당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