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MBL(무비블록) 토큰을 바이비트에서 업비트·빗썸·코인원으로, 혹은 반대로 전송할 경우 발생하는 출금 수수료와 절차를 정리했습니다. 실수로 인한 자산 손실을 방지하려면 반드시 네트워크 선택과 수수료 구조를 정확히 확인해야 합니다. 특히 600개 이하 전송 시 전액이 수수료로 차감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바이비트에서 전송하는 법
무비블록(MBL) 전송, ‘수수료 600개’ 잊지 마세요.
MBL은 콘텐츠 플랫폼 기반의 암호화폐로 국내 거래소 3사(업비트·빗썸·코인원)와 바이비트 양쪽에서 모두 거래가 가능한 토큰입니다. 하지만 생각보다 많은 분들이 간과하는 부분이 바로 전송 수수료 구조입니다. MBL은 다른 코인에 비해 출금 수수료가 높은 편이고, 소량 전송 시에는 전부 수수료로 차감돼 실제로 아무것도 입금되지 않는 상황도 벌어질 수 있습니다.
특히 바이비트에서 출금하거나 국내 거래소에서 입금할 때 반드시 ERC-20 네트워크만 지원된다는 점, 그리고 거래소별 수수료가 고정으로 600 MBL이라는 점은 꼭 기억해두셔야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바이비트에서 업비트, 빗썸, 코인원으로 전송할 때의 절차와 수수료, 그리고 반대로 국내 거래소에서 바이비트로 보낼 때의 구조까지 모두 정리해 보겠습니다.
MBL 전송 시 거래소별 입·출금 조건 비교
거래소 | 지원 네트워크 | 출금 수수료 | 1,000개 출금 시 수령 | 비고 |
---|---|---|---|---|
바이비트 | ERC-20 | 600 MBL | 400 MBL | 600개 이하 출금 시 전액 차감 |
업비트 | ERC-20 | 600 MBL | 400 MBL | 600개 이하 출금 시 수령 불가 |
빗썸 | ERC-20 | 600 MBL | 400 MBL | 600개 이하 출금 시 수령 불가 |
코인원 | ERC-20 | 600 MBL | 400 MBL | 600개 이하 출금 시 수령 불가 |
MBL 전송 절차와 각 거래소별 수수료
입금 주소 복사: 이게 가장 먼저입니다.
업비트, 빗썸, 코인원 중 전송하려는 거래소에 로그인한 다음, MBL 토큰의 입금 주소를 복사합니다. 반드시 ERC-20 네트워크 기반의 주소인지 확인해야 합니다. MBL은 이더리움 네트워크에서만 지원되기 때문에, 네트워크를 잘못 선택하면 자산을 잃을 수 있습니다.
바이비트 출금 신청: 메뉴는 익숙해지면 쉽습니다.
바이비트에 접속해서 자산 → 출금 → MBL 선택 → 네트워크는 반드시 ERC-20 → 복사해 온 입금 주소 붙여 넣기 → 전송 수량 입력 (예: 1,000개) → 인증 절차 진행 (OTP, 이메일 인증 등) → 출금 신청 완료
입금 확인: 생각보다 빠르게 도착합니다.
바이비트 출금 후 평균 10~30분 안에 국내 거래소 입금 완료됩니다. 물론 네트워크 상황에 따라 소폭 달라질 수 있지만, 보통 1시간 이내로는 무난하게 완료되더군요.
거래소별 수수료
업비트: 수수료 600 MBL → 실제 수령 400 MBL
빗썸: 수수료 600 MBL → 실제 수령 400 MBL
코인원: 수수료 600 MBL → 실제 수령 400 MBL
600개 이하를 전송할 경우, 전액이 수수료로 차감되어 입금 불가(0개)이니 꼭 주의하셔야 합니다.
꼭 ERC-20 주소를 사용하세요.
수수료는 거래소마다 다르지만, 600 MBL 고정 수수료라서 소액 출금은 사실상 불가능합니다.
출금 수량은 반드시 600개 이상이어야만 실수령이 가능합니다.
바이비트에서도 소량의 수수료가 발생하지만, USDT로 차감되며 MBL 수량에는 영향 없습니다.
트래블룰 적용으로, 바이비트 계정과 국내 거래소 계정의 실명이 반드시 일치해야 합니다.
업비트·빗썸·코인원에서 바이비트로 MBL 전송할 때 수수료와 절차
이번엔 반대로, 업비트나 빗썸, 코인원에서 바이비트로 무비블록(MBL)을 전송할 경우를 정리해 보겠습니다. 바이비트에서 출금하는 건 익숙해져도, 반대로 국내 거래소에서 바이비트로 보내는 건 처음이면 살짝 낯설 수 있거든요.
다행히도 MBL은 ERC-20 기반 토큰이라서 거래소 간 전송 구조 자체는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하지만 각 거래소별로 수수료 정책이 다르기 때문에 꼭 체크하고 보내야 합니다.
바이비트 입금 주소 확인
바이비트에 로그인한 후, ‘자산 → 입금 → MBL(무비블록)’ 선택 → ERC-20 네트워크 주소를 복사해 둡니다. 이 주소를 업비트나 빗썸, 코인원에서 출금 주소로 입력하게 됩니다.
주의사항: 바이비트의 MBL은 반드시 ERC-20 네트워크만 지원합니다. 혹시라도 바이낸스 스마트체인(BEP-20) 같은 다른 네트워크로 전송하면 자산이 사라질 수 있으니 반드시 ERC-20 주소임을 다시 한번 확인하세요.
업비트에서 바이비트로 보내는 방법
업비트 지갑 메뉴로 이동 후, MBL 선택 → 출금
출금 주소에 바이비트에서 복사한 ERC-20 주소를 붙여 넣고, 수량 입력
수수료는 600 MBL 고정
예를 들어 1,000개 출금 시 → 실제 바이비트에 도착하는 수량은 400개
600개 이하 출금 시 전액 수수료로 차감되어 입금 불가
빗썸에서 바이비트로 전송하는 방법
빗썸 로그인 → 자산 → MBL 선택 후 출금
바이비트 주소 입력, 수량 입력
빗썸도 업비트와 동일하게 600 MBL 수수료
마찬가지로 1,000개 전송 시 400개 도착
코인원에서 바이비트로 전송
코인원 로그인 후 MBL 자산 메뉴에서 출금 신청
ERC-20 주소 입력 후 수량 입력
수수료는 600 MBL
600개 이하 출금 시 입금 안 됨
반드시 바이비트에서 MBL의 ERC-20 주소를 정확하게 복사해서 사용해야 합니다.
수수료는 업비트·빗썸·코인원 공통으로 600 MBL 고정입니다.
600개보다 적게 출금하면 전액 수수료로 차감되니 실수하지 마세요.
트래블룰 때문에, 보내는 사람 이름과 바이비트 계정 실명이 일치해야 전송이 승인됩니다.
MBL 전송할 땐 무조건 ‘600개 수수료’ 기억하세요.
무비블록(MBL)을 바이비트에서 국내 거래소로 보내거나, 반대로 국내 거래소에서 바이비트로 보낼 때 모두 600 MBL의 고정 수수료가 발생합니다. 결국 실질적인 수령 수량은 1,000개 기준으로 400개뿐이라는 얘기죠.
특히 소량 전송할 경우에는 전부 수수료로 차감돼 아예 입금 자체가 안 되기 때문에, 반드시 600개 이상을 전송해야 합니다. 트래블룰 연동이나 네트워크 선택도 민감한 부분이니, 주소 입력할 때는 정말 두 번, 세 번 확인하는 습관이 필요하고요.
실수를 피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출금 전에 거래소 앱이나 웹에서 수수료와 최소 출금 수량을 꼭 다시 한번 확인하는 겁니다. MBL처럼 수수료가 높은 토큰일수록 특히 더요. 실수 없이 안전하게 전송하시길 바랍니다.
같이 보면 좋은 글
바이비트에서 업비트·빗썸·코인원으로 마스크네트워크(MASK) 전송하는 법 + 수수료
마스크네트워크(MASK)를 바이비트에서 업비트, 빗썸, 코인원으로 전송하거나 반대로 입금할 때, 가장 실수 없는 방법과 거래소별 수수료, 실제 입금 수량까지 한눈에 비교 정리했습니다. ERC-20 네
bk2080.com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이비트에서 업비트·빗썸·코인원으로 펀디엑스(PUNDIX) 전송하는 법 + 수수료 (1) | 2025.06.18 |
---|---|
바이비트에서 업비트·빗썸·코인원으로 칠리즈(CHZ) 전송하는 법 + 수수료 (1) | 2025.06.17 |
바이비트에서 업비트·빗썸·코인원으로 스페이스아이디(ID) 전송하는 법 + 수수료 (1) | 2025.06.15 |
바이비트에서 업비트·빗썸·코인원으로 카브(CARV) 전송하는 법 + 수수료 (1) | 2025.06.14 |
바이비트에서 업비트·빗썸·코인원으로 카우프로토콜(COW) 전송하는 법 + 수수료 (2) | 2025.06.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