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바이비트에서 온도파이낸스(ONDO)를 업비트, 빗썸, 코인원으로 전송하거나 반대로 국내 거래소에서 바이비트로 전송하려는 분들을 위해, 가장 쉬운 전송 절차와 각 거래소별 수수료, 최소 전송 수량, 네트워크 설정 방법까지 한눈에 정리했습니다. ERC-20 기반 코인 특성상 주소와 네트워크만 정확히 맞춘다면 입출금은 어렵지 않지만, 출금 수수료가 높기 때문에 한 번에 묶어서 전송하는 전략이 유리합니다.

 

바이비트에서 업비트·빗썸·코인원으로 온도파이낸스(ONDO) 전송하는 법 + 수수료

 

 

 

ONDO 전송, 네트워크 실수 없이 수수료 줄이는 전략이 핵심입니다.

온도파이낸스(ONDO)는 미국 실물자산 기반 토큰화 프로젝트로, 최근 국내외에서 점점 존재감을 키워가고 있습니다. 특히 바이비트를 통해 미리 매수한 투자자분들 중에는 국내 거래소로 옮겨 현금화를 하거나, 반대로 업비트나 빗썸, 코인원에서 매수한 ONDO를 바이비트로 전송해 새로운 코인 거래나 디파이 활용을 시도하는 분들도 많아졌습니다.

 

하지만 막상 전송하려고 하면 단순히 주소 복사해서 붙여 넣는 수준으로 끝나지 않습니다. ERC-20 기반이다 보니 네트워크 설정에 민감하고, 무엇보다 출금 수수료가 상당히 높은 편이라 무작정 전송했다간 아까운 코인을 허공에 날릴 수도 있죠.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바이비트에서 업비트·빗썸·코인원으로 ONDO를 전송할 때, 그리고 그 반대 방향일 때 각각의 가장 쉬운 전송 방법, 수수료 비교, 주의사항을 실제 거래 기준으로 정리해 봤습니다. 특히 100개 전송 시 실질 부담 비용과 각 거래소의 네트워크 조건까지 담았기 때문에, 실수 없이 전송하려는 분들에게 꼭 도움이 될 거라 생각합니다.

 

바이비트 → 업비트·빗썸·코인원으로 ONDO 전송하는 방법과 수수료

바이비트에서 ONDO 출금 준비하기

먼저 바이비트에서 ONDO를 출금하려면 아래와 같은 절차를 따릅니다.

 

1. 바이비트 로그인

2. 상단 '자산' 메뉴 → ‘현물 지갑’ 클릭

3. ONDO 검색 후 ‘출금’ 선택

4. 출금 네트워크: Ethereum(ERC-20) 선택

5. 국내 거래소에서 복사한 입금 주소를 붙여넣기

6. 수량 입력 후 OTP 인증 → 전송 완료

 

반드시 ERC-20 네트워크를 선택해야 합니다. 업비트, 빗썸, 코인원 모두 ERC-20만 지원하니 이 부분 틀리면 자산이 증발할 수 있습니다. 주소 복사 실수도 잦은 편이라 처음엔 소액 테스트 전송을 꼭 추천드려요.

 

 

바이비트 ONDO 출금 수수료 (2025년 5월 기준)

출금 수수료: 20 ONDO (고정)

ONDO 시세가 약 1,200원일 경우, 수수료 약 24,000원 수준

최소 출금 수량: 약 40~50 ONDO 이상

전송 속도: 보통 5~15분 내외

 

수수료가 꽤 높은 편입니다. ONDO는 적은 수량으로는 전송 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에, 100개 이상 한 번에 전송하는 게 수수료 대비 낫습니다.

 

 

업비트에서 ONDO 입금받는 방법

 

1. 업비트 로그인 → ‘입출금’ 메뉴

2. ONDO 검색 후 ‘입금’ 클릭

3. ERC-20 입금 주소 생성

4. 복사한 주소를 바이비트 출금창에 붙여 넣기

 

입금 수수료 없음

메모 입력 불필요

입금 반영 시간: 약 5~15분

 

네트워크 일치만 확인하시면 큰 문제없이 입금됩니다. 단, 출금 후 업비트에서 확인되기까지 수 분 이상 걸릴 수 있으니 조급해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빗썸에서 ONDO 입금받는 방법

 

1. 빗썸 로그인 → ‘입출금’ 클릭

2. ONDO 검색 후 입금 주소 생성

3. ERC-20 주소 복사 → 바이비트에 붙여 넣기

4. 출금 요청

 

입금 수수료 없음

메모 불필요

입금 반영 시간: 약 10분 내외

 

빗썸은 입금 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편이며, 출금 지갑에서 송금 완료되면 빠르게 반영됩니다.

 

 

코인원에서 ONDO 입금받는 방법

 

1. 코인원 로그인 → ‘지갑’ 메뉴

2. ONDO 검색 후 ‘입금 주소 생성’

3. ERC-20 주소 복사 → 바이비트에 붙여 넣기

4. 전송 요청

 

입금 수수료 없음

메모 불필요

입금 반영 시간: 평균 10~20분

 

입금 지연이 간혹 발생할 수 있으니, 전송 후 입금 내역 확인은 꼭 해주세요.

 

6. ONDO 전송 요약표 (바이비트 → 업비트·빗썸·코인원)

 

거래소 입금 가능 여부 네트워크 출금 수수료
(바이비트)
100개 전송 시
실제 비용
입금 수수료 메모 필요 여부 전송 소요 시간
업비트 가능 ERC-20 20 ONDO 약 24,000원 없음 불필요 약 5~15분
빗썸 가능 ERC-20 20 ONDO 약 24,000원 없음 불필요 약 10분
코인원 가능 ERC-20 20 ONDO 약 24,000원 없음 불필요 약 10~20분

 

시세 기준은 2025년 5월 기준 1 ONDO ≒ 1,200원으로 계산되었습니다. 시세 변동에 따라 실수수료는 달라질 수 있으니 전송 전 확인 필수입니다.

 

업비트·빗썸·코인원에서 바이비트로 ONDO 전송할 때 수수료와 전송 방법

이번에는 반대 방향입니다. 즉, 업비트·빗썸·코인원에서 바이비트로 온도파이낸스(ONDO)를 전송하는 경우, 어떤 절차를 거쳐야 하는지, 각 거래소의 출금 수수료는 얼마나 되는지, 또 실제로 얼마나 걸리는지를 정리해 보겠습니다. 해외 신규 코인을 사기 위해 바이비트로 자금을 옮기려는 분들에게 꽤 유용한 정보가 될 겁니다. 특히 ONDO처럼 ERC-20 기반 코인은 네트워크가 복잡하지 않지만, 수수료가 높다 보니 실수하면 아깝다는 느낌이 더 강하죠.

 

바이비트에서 ONDO 입금 주소 확인하기

가장 먼저 바이비트에서 나의 ONDO 입금 주소를 확인해야 합니다.

 

1. 바이비트 로그인

2. 상단 메뉴에서 '자산' → ‘입금’ 클릭

3. ONDO 검색

4. 네트워크는 반드시 ERC-20으로 선택

5. 생성된 주소를 복사

 

ONDO는 바이비트에서 ERC-20 네트워크만 지원됩니다. 따라서, 업비트·빗썸·코인원에서 전송 시 반드시 같은 네트워크를 선택해야 합니다.

 

또한, ONDO는 메모(MEMO) 없이 주소만 입력하면 되기 때문에 입력 실수만 없으면 전송은 어렵지 않습니다.

 

 

업비트에서 바이비트로 ONDO 전송하기

1. 업비트 로그인 후 ‘입출금’ 메뉴 클릭

2. ONDO 검색 → ‘출금’ 선택

3. 바이비트 입금 주소 붙여 넣기

4. 수량 입력 → OTP 인증 → 출금 요청

 

출금 수수료: 20 ONDO (고정) 시세 기준 약 24,000원 수준입니다.

 

최소 출금 수량: 약 40~50 ONDO 이상

네트워크 설정: 자동 ERC-20

전송 시간: 약 5~15분

 

업비트는 ONDO 출금 시 별도의 네트워크 선택 없이 자동으로 ERC-20으로 지정되므로, 주소만 정확히 입력하면 큰 문제는 없습니다.

 

 

빗썸에서 바이비트로 ONDO 전송하기

1. 빗썸 로그인 후 ‘입출금’ 메뉴

2. ONDO 선택 후 ‘출금’ 클릭

3. 바이비트 입금 주소 입력 → 수량 입력

4. 인증 후 출금 요청

 

출금 수수료: 18 ONDO 다른 거래소보다 조금 더 저렴한 편이며, 약 21,600원 수준입니다.

 

최소 출금 수량: 36 ONDO

전송 시간: 약 10분 전후

네트워크 설정: ERC-20 (수동 선택)

 

빗썸은 네트워크를 수동으로 선택해야 하므로 반드시 ERC-20으로 설정하세요. 잘못 설정하면 입금되지 않으며, 복구가 매우 어렵습니다.

 

 

4. 코인원에서 바이비트로 ONDO 전송하기

 

1. 코인원 로그인 → ‘지갑’ 메뉴

2. ONDO 검색 → ‘출금’ 클릭

3. 바이비트 주소 붙여 넣기

4. 수량 입력 → 인증 → 출금 요청

 

출금 수수료: 20 ONDO 업비트와 동일한 수준입니다.

 

최소 출금 수량: 약 40~50 ONDO

네트워크 선택: ERC-20

전송 소요 시간: 10~20분 내외

 

 코인원은 출금 승인이 조금 느린 편입니다. 전송 요청 후 실제 반영까지 다소 시간차가 있을 수 있으니 여유 있게 계획하시는 게 좋습니다.

 

국내 거래소 → 바이비트 ONDO

출금 거래소 출금 수수료 100개 전송 시 실비용 최소 출금 수량 네트워크 메모 필요 여부 평균 전송 시간
업비트 20 ONDO 약 24,000원 약 50 ONDO ERC-20 불필요 5~15분
빗썸 18 ONDO 약 21,600원 36 ONDO ERC-20 불필요 약 10분
코인원 20 ONDO 약 24,000원 약 50 ONDO ERC-20 불필요 10~20분

시세 기준: 1 ONDO = 1,200원

 

ONDO는 주소만 정확히 입력하면 큰 문제없이 전송됩니다, 단 수수료는 절대 무시하면 안 됩니다.

국내 거래소에서 바이비트로 ONDO를 전송하는 과정은 생각보다 단순합니다. ERC-20 기반이라 별도 복잡한 메모도 필요 없고, 주소만 정확히 입력하면 대부분 15분 이내로 입금이 완료되죠.

 

하지만 간단한 만큼 실수하면 손해도 큽니다. ONDO는 출금 수수료가 18~20개 수준, 금액으로 치면 2만 원을 훌쩍 넘는 수준입니다. 소액 전송 땐 수수료 비율이 너무 커서 오히려 손해일 수도 있으니, 전송 시점과 수량을 한 번에 묶는 게 훨씬 유리합니다.

 

또한, 네트워크가 ERC-20이기 때문에, 빗썸처럼 수동 선택이 필요한 거래소에선 반드시 ERC-20을 선택해야 합니다. 그 외에는 전송 과정이 단순한 편이라 초보자도 크게 어렵지 않게 처리할 수 있어요.

 

결론적으로, 바이비트에서 거래할 계획이 있다면 ONDO도 나쁘지 않은 전송 수단이 될 수 있습니다. 단, 수수료 구조를 감안해 전송 타이밍과 수량 전략을 잘 짜는 것, 이게 핵심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