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쌉쌀한 맛 도라지의 유래도라지는 초롱꽃과의 여러해살이 식물로 우리나라 땅에서 자생합니다. 예전에는 산과 들에서 흔하게 볼 수 있었으나 요즘에는 깊은 산에서나 볼 수 있습니다. 사람들이 많이 채취한 탓인듯합니다. 동아시아가 원산지이며 이 지역에서는 오래전부터 약용으로 사용했다고 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예로부터 나물로 흔히 먹었으며, 1940년대 한 스님이 도라지를 처음 재배했다는 말이 전해지지만 정설은 아니라고 합니다. 도라지는 약용과 식용으로 쓰임새가 많은 식물이었습니다. 도라지는 웬만한 곳에서 잘 자라며 씨앗을 뿌리면 쉽게 군락을 형성한다고 합니다. 뒷동산에 흔히 보던 도라지 군락 중 많은 부분이 인공적으로 만들어졌을 것으로 보입니다. 도라지의 주요 성분은 사포닌이며 수분 85.5%, 당질 10.4%,..

어학사전에 없는 해죽순포털사이트 어학사전에서 해죽순이란 단어를 검색하면 검색 결과가 없거나 비슷한 단어인 '해적선'이 검색됩니다. 아마도 수입을 하면서 국내 실정에 맞게 바다에서 나는 죽순 모양의 생김새다 보니 해죽순이라고 작명한듯합니다. 해죽순과 연관되어 니파팜이라는 단어도 니파(야자)와 이 야자에서 나는 순을 니파팜이란 단어로 불리고 있습니다. 두 단어 모두 국내에 수입되면서 이해하기 쉽게 만들어진 단어라고 불 수 있습니다. 해죽순의 원산지해죽순은 미얀마가 원산지로 니파야자, 니파팜 등으로 불리는 야자수의 어린 새순이라고 합니다. 바닷가, 물가 등에서 자라서 밀물과 썰물이 반복되기 때문에 바닷물이 빠지고 갯벌 밀림 속에서 바다의 산삼이라고 불리는 해죽순을 만날 수 있다고 합니다. 해죽순의 효능1. ..

동충하초의 유래동충하초라는 이름은 여름에는 풀이되고 겨울에는 벌레가 된다는 형태학적인 것에서 유래되었다고 합니다. 이 식물은 해발 3,000m 이상의 중국의 고산에서 성장하는 균 식물입니다. 약으로 이용되기 시작한 것은 1,700년대부터이니 약 300여 년 밖에 안된 약용자원이라고 합니다. 한때 국내에서 이 식물을 대량으로 재배하였는데 약용 가치가 높다고 하여 들썩였었습니다. 그러나 국산 동충하초는 중국의 고산에서 성장하는 동충하초가 아니라 기원 식물이 다른 누에 동충하초로서원종과는 전혀 다른 식물로 속과 종이 다 다르다고 합니다. 물론 여기에도 약용 가치는 있으나 원 식물과 혼용한다는 것은 결국 사람을 현혹하는 결과였습니다. 중국에서는 재배가 안 되어 매우 높은 가격이 형성되었는데도 품귀현상이라고 합니..

약 1만 년을 함께한 작물 보리보리는 세계 4대 작물 중 하나이며, 우리나라의 경우 오곡 (쌀, 보리, 조, 콩, 기장) 중 하나로 쌀 다음가는 주식 곡물입니다.보리는 화분과에 속하는 1변생 혹은 2년생 초본식물로 대맥이라고도 합니다. 보리는 재개 역사가 가장 오랜 작물의 하나로 중세 유럽이나 이집트 석기시대 유물에서 보리가 발견되었기 때문에 보리는 약 1만 년 정에 재배가 시작되었을 것이라고 추정하고 있습니다. 그중 흑보리 또는 검정보리는 에티오피아가 원산지로 알려진 보리의 종류로 검은색 속에는 안토시아닌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보리의 다양한 효능에 더해 강력한 황산화 활성이 있습니다. 최고의 자연 강장제 블랙보리의 효능1. 장 건강 개선에 도움을 줍니다. 검정보리는 일반 보리보다 부드럽고 식감이 좋으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