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식품보존과 가공식품 발달의 배경18세기 시민혁명 이후 더욱 단단해진 유럽은 19세기부터 20세기 전반 새로운 사회 체계를 만든다. 산업혁명 이후 일상생활은 공장에서 대량으로 만들어낸 제품들로 채워진다. 공장이 들어선 도시로 인구가 급증한다. 사회의 체제가 갖춰지면서 전 세계가 주목하는 새로운 기준이 된다. 전 세계가 유럽을 중심으로 재정비되었다. 철도와 증기선으로 대량 운송이 가능해지면서 세계 각지의 식자재로 생활변화를 주도한다. 통조림 제조, 냉장선의 개발, 저온살균방식의 식품가공 산업이 성장한다. 유럽의 증기선과 냉장선을 타고 들어온 식자재나 생활필수품들로 도시는 크게 확장되어 대도시가 여럿 형성된다. 공장지대에서는 식량 자급자족이 어렵기 때문에 식품보존기술이 중요했다. 가공식품의 첨가물은 사람들의 ..

신대륙에 꽃 핀 유럽의 식문화대항해시대에 인류는 바다를 지배하려 했다. 세계 각지를 연결하는 항로에는 막대한 식자재와 향신료, 기호품 등을 실은 배들이 떠다녔다. 유럽인들의 주도로 신대륙과 구대륙의 대규모 교류가 진행되었다. 유럽인들은 신대륙의 동물과 식물을 대량으로 들여왔고, 생태계의 모습이 크게 변화된다. 구대륙으로 생산성 높은 곡물이 전파되자 식문화의 커다란 변화를 맞는다. 특히 신대륙은 구대륙과 비교할 수 없이 변화했다. 미국의 대 평원과 아르헨티나 팜파스 초원은 유럽인들을 위한 거대한 식량 창고가 되었다. 대항해시대 이후의 유럽인들은 신대륙의 식자재 등을 싼 가격에 들여왔고, 유럽의 공업 제품은 고가에 팔았다. 많은 유럽인들은 신대륙으로 이주해 유럽인 기호에 맞는 식자재를 대량 생산했다. 이렇게..

무역의 중심 유라시아 대륙유라시아 대륙은 항상 인류 역사의 중심이다. 수많은 식문화가 바닷길, 초원길, 실크로드로 연결되었다. 이주, 무역, 종교, 포교, 무역 때문에 식자재, 조미료, 요리 방법 등의 교류를 이어나갈 수 있었다. 8세기 이슬람의 대정복 운동 이후 페르시아와 지중해 세계가 붕괴한다. 거대한 이슬람 제국이 유라시아를 지배한다. 아바스 왕조는 유라시아를 연결한 상권을 만들었으며 문화 교류에 큰 역할을 한다. 9세기에 인도의 식자재가 서아시아를 넘어 이슬람 세계로 전해지고, 13세기에는 몽골 제국이 유라시아를 통일시키면서 바다와 육지의 교역을 지배한다. 중국은 오랫동안 실크로드를 통해 참깨를 수입했다. 알리바바와 40인의 도적에서 문을 여는 주문이 열려라 참깨인 이유는, 참깨의 껍질이 익으면 ..

타당성 없는 세계 3대 요리 요리는 4500년 전부터 대제국의 궁정 요리를 중심으로 체계화되었다. 도시로 인구가 밀집되면서 대도시가 형성되었고, 그곳을 중심으로 대제국이 탄생했다. 각 지역 기후에 따른 고유의 식자재와 향신료, 조미료, 조리 기술 등이 만나 기초를 다졌다. 대제국은 상인들의 활동이 활발해 세금을 걷어 막대한 부를 축적했다. 상인의 활동으로 각 지방의 식자재나 조리법이 수도로 유입되었다. 세계 3대 요리는 프랑스 요리, 중국요리, 터키 요리를 말하지만, 타당성은 없다. 조리법 형성 시기가 많이 차이 나기 때문이다. 프랑스 요리는 고대 로마 제국 궁정 요리를 토대로 탄생했다. 19세기 유럽은 식민지로부터 막대한 부를 얻었고, 귀족들을 위한 요리가 많이 발달했다. 프랑스는 혁명 등을 거치며 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