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타당성 없는 세계 3대 요리 요리는 4500년 전부터 대제국의 궁정 요리를 중심으로 체계화되었다. 도시로 인구가 밀집되면서 대도시가 형성되었고, 그곳을 중심으로 대제국이 탄생했다. 각 지역 기후에 따른 고유의 식자재와 향신료, 조미료, 조리 기술 등이 만나 기초를 다졌다. 대제국은 상인들의 활동이 활발해 세금을 걷어 막대한 부를 축적했다. 상인의 활동으로 각 지방의 식자재나 조리법이 수도로 유입되었다. 세계 3대 요리는 프랑스 요리, 중국요리, 터키 요리를 말하지만, 타당성은 없다. 조리법 형성 시기가 많이 차이 나기 때문이다. 프랑스 요리는 고대 로마 제국 궁정 요리를 토대로 탄생했다. 19세기 유럽은 식민지로부터 막대한 부를 얻었고, 귀족들을 위한 요리가 많이 발달했다. 프랑스는 혁명 등을 거치며 귀..

불의 발견과 가열이 만든 음식 세계인간이 식물의 종자를 길러 곡식을 수확해 먹게 된 데에는 큰 이유는 없다. 기후가 변하다 보니 주변에 우연히 존재했을 뿐이다. 딱딱하고 자그마한 곡식을 먹기 좋게 만들어야 했다. 곡물의 발전에 불은 뗄 수 없는 존재다. 신화에는 여러 불의 기원설이 존재한다. 인류는 작물을 재배하기 위해서 초원을 태워 밭을 갈았다. 그 과정에서 많은 동식물이 멸종을 당했다. 인류의 욕구로 농업이 시작되었다. 음식을 만드는 방법 중에 가장 다양한 요리를 할 수 있는 것이 바로 가열이다. 불은 인류의 식문화의 혁명과도 같은 존재다. 3800년 전 메소포타미아 문명의 수메르인들의 유적에는 화덕이나 오븐이 다수 발견되었다. 질그릇(pot)의 발견은 세라믹 혁명이라고 불릴 만큼 가열식에 크게 기여..

음식 보존 및 조미료 발견수렵과 채집 시대에는 자연이 주는 생식 식자재가 음식문화였다. 자연의 순환이 반복되면서 여러 계절이 지나 수확을 하면서, 열심히 일한 만큼의 보상을 받았다. 19세기 이후에는 자연을 개발하게 된다. 따뜻한 계절에 잡은 생선을 바짝 말려 포를 만들어 보관하거나, 추운 겨울에는 생선을 얼렸다.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는 제철 음식을 즐기는 미식가였다. 봄에 돔이 가장 맛있고, 문어는 가을겨울에 맛있다는 기록을 남겼다. 식자재를 구할 수 있게 된 인간의 가장 큰 숙제는 음식의 부패를 막는 것이었다. 애써 구한 식자재를 잃을 수 없었다. 식자재를 유지하기 위해 건조하는 방법과 발효하는 방법을 시작으로, 소금과 식초를 이용하여 식품을 보존하게 되었다. 중국은 육류나 해산물로 젓갈을 만들어 보..

세계 음식문화 발달 및 다양성인간의 삶에 가장 중요한 부분은 식문화이다. 먹지 않으면 생명을 연장할 수 없다. 한 사람이 평생 먹을 수 있는 음식은 양은 약 50만 톤이며, 물은 약 5만 톤 정도이다. 헤아릴 수 없을 만큼의 많은 종류의 음식물을 섭취한다. 세계 각국에서 생산되는 식재료를 공유한다. 나라, 지역, 민족, 가정마다 다른 레시피를 가진다. 몇백 만년을 걸쳐도 계속 새로운 레시피가 개발된다. 다양한 식재료 간의 균형과 조미료, 향신료의 사용 또는 익히거나 발효하는 조리 법에 따라 수만 종류의 요리가 가능하다. 맛에 대한 인간의 탐욕까지 가세해 와인, 송로버섯(트러플), 캐비어, 푸아그라 등을 만들었다. 와인의 탄생은 포도나무 아래 포도가 떨어져 자연발효를 했고, 원숭이가 마시고 휘청거리는 모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