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로나19를 지나오면서 경영에 어려움을 격은 기업들이 많이 생겨났습니다. 그러면서 자연그럽게 많이 들어본 말이 사업자 세금환급제도인 경정청구입니다. 경정청구를 하면 세무조사 대상자가 된다는 이야기도 있는데요. 오늘은 사업자 세금환금제도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경정청구란?경정청구란 국세 기본법 제45조의 2에 의거 법인세, 소득세 신고 납부 시 자료의 불비, 세제혜택의 미적용 등으로 내야 할 세금보다 더 냈거나 잘못 낸 세금을 돌려받을 수 있는 제도를 말합니다. 매년 쏟아지고 있는 조세 지원과 혜택을 모두 세세하게 적용하는 건 생각보다 어려운 일인데요. 특히 납세자들은 대부분 법인세, 소득세 등을 세무사나 회계사에게 의뢰하기 때문에 아무래도 하나하나 꼼꼼히 챙기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합..

여러 가지 사유로 실제 매출이 0원인 회사가 현실적으로 존재하는데요. 그런데 매출이 0원이라면 세금을 내지 않아도 될까요? 언뜻 들어서는 그래도 될 것 같습니다. 벌어들인 소득이 없으니, 세금도 물리지 않는 게 당연하겠습니다. 그러나 이는 잘못된 생각입니다. 매출이 0원이라도 세금을 내야 하는 경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매출이 없어도 세금을 내야 하는 경우과세표준이 0원보다 큰 경우먼저, 과세표준이 0원보다 큰 경우 매출이 없어도 세금을 내야 합니다. 법인세는 단순히 매출에 따라 산정하는 세금이 아닙니다. 정확히는 과세표준에 세율을 곱하여 계산해야 합니다. 법인세 과세표준을 구하는 공식을 알아보겠습니다. ①법인세 과세표준 = 직전연도 소득 금액 – (이월결손금 + 비과세 소득 + 소득 공제액)②과..

사업을 하다 보면 종종 거래를 종료하고 세금계산서를 받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런 경우, 뒤늦게라도 거래처에게 연락하면 받을 수 있는 것이 일반적입니다만, 특수한 경우 거래처가 폐업하여 사라져 버린 경우입니다. 이런 경우에 해당하는 매입자 세금계산서 발행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매입자 세금계산서를 발행할 수 있는 경우세금계산서는 매출이 발생했을 때 발행하는 일종의 ‘영수증’ 개념입니다. 따라서 세금계산서 발행 의무도 공급자(매출이 발생한 쪽, 판매자)에게 있습니다. 따라서 세금계산서를 수취하는 매입자(지출이 발생한 쪽, 구매자)가 세금계산서를 발행하는 것은 이치에 맞지 않습니다. 하지만 판매자가 세금계산서를 발행하지 않은 (혹은 못한) 경우, 구매자가 세무서에 문의하여 세금계산서를 발급받을 ..

정부에서 지원금을 준다는 것은 알아도 정작 '우리 회사가 어떤 지원금을 받을 수 있는 지원금이 뭐가 있는지 모르겠어요.'라고 이야기하시는 분들이 많이 있으신데요. 그래서 오늘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일자리 육아와 관련된 정부지원금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신청 - 6개월 이상 실업상태인 만 15세~34세 청년을 채용한 경우- 신규채용 청년 1인당 월 80만 원(월 임금의 최대 80%), 최대 12개월 지원 육아휴직 지원금 육아휴직 지원금 신청 - 근로자에게 육아휴직을 30일 이상 부여한 우선지원 대상기업 사업주- 월 30만 원, 12개월 이내 자녀에 대해 육아휴직 허용 시에는 첫 3개월 동안 월 200만 원 지원 고령자 고용지원금 고령자 고용지원금 신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