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법인이든 개인이든 사업을 하다 보면 아르바이트생을 고용할 수밖에 없는 경우가 있습니다. 지금도 고용하고 계시는 대표님들도 많이 있으실 것입니다. 아르바이트생을 고용해 본 적 있는 대표님이시라면 아르바이트생의 지각 때문에 고민해 본 적이 있을 것입니다. 지각이 잦은 아르바이트생이라면 근태관리를 위해 지각비를 급여에서 빼는 방법도 생각해 보셨을 것입니다. 급여에서 지각비나 벌금을 빼도 괜찮은 걸까? 란 부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지각하는 아르바이트생, 지각비를 걷어도 될까

 

 

별도의 지각비 차감은 불가능, 일하지 않은 시간만큼 급여 차감은 가능

급여에서 지각비를 차감하는 것일하지 않은 시간만큼 급여를 차감하는 것은 얼핏 보면 비슷해 보이지만 사실 큰 차이가 있습니다.

 

임금 지급 4대 원칙에 따라, 사업주는 임금 전액을 근로자에게 지급해야 합니다. 따라서 지각비나 벌금 등의 명목으로 별도의 지각비를 책정하여 공제할 수 없습니다. 이를 위반할 경우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 원 이하의 벌금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

 

임금 지급의 4대 원칙이란?

임금 지급 4대 원칙

전액 지급 원칙: 일한 만큼의 임금 전액을 지급해야 합니다.

통화 지급 원칙: 식사권, 쿠폰 등이 아닌 통화로 지급해야 합니다.

직접 지급 원칙: 근로자에게 직접 지급해야 합니다.

정기 지급 원칙: 매월 1회 이상 일정 날짜에 지급해야 합니다.

 

하지만 일하지 않은 시간만큼의 급여는 공제할 수 있습니다. 아르바이트생의 급여는 근로계약상 정해진 소정근로시간을 기준으로 지급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사전에 근로계약으로 정해진 근무 시간을 채우지 못한 경우, 전체 급여에서 일하지 않은 시간만큼의 급여를 삭감하는 건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예를 들면 시급 9,620원을 받는 아르바이트생이 1시간 지각한 경우 10분 지각할 때마다 천 원의 지각비를 설정하고, 급여에서 6,000원을 차감할 수는 없습니다. 전체 근로 시간 중 1시간을 일하지 않았으니 전체 급여에서 시급 9,620원을 차감할 수 있습니다.

 

1시간 지각 시 지각비 설정 10분당 1,000원 60분 지각 6,000원 차감 불가 1시간 일하지 않았으니 시급 차감 가능 이 부분은 사장님들이나 아르바이트생들 모두 알아두셨으면 하는 내용입니다.

 

 

근로계약서에 지각비를 차감한다는 조항을 있다면?

근로계약서에 별도의 지각비를 걷는다는 조항을 넣고, 아르바이트생이 이에 동의했더라도 지각비를 공제할 수 없습니다. 근로계약서와 관계없이 급여 외 별도의 어떤 지각비나 벌금을 부과할 수 없습니다. 이는 효력 없는 무효 계약으로 간주하며, 근로기준법 위반으로 500만 원 이하의 벌금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

 

아르바이트생 근태 관리는 이 방법으로

지각한 시간만큼 급여가 차감될 수 있음을 근로계약서에 명시하고, 사전에 아르바이트생에게도 알려주시면 됩니다. 출퇴근 시간을 정확하게 확인하고, 근무한 시간만큼 급여를 알맞게 정산하면 근태 관리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많은 대표님분이 한 번쯤은 아르바이트생 채용을 고려해 본 적 있으실 것입니다. 아르바이트생 또한 근로기준법 적용 대상인만큼, 근로기준법상 알맞은 근무환경을 제공해 주는 걸 기억해두셔야 합니다.

 

아래의 전문가는 불필요하게 시간과 비용을 소모하지 않도록 실시간으로 빠르게 처리하는 전문가입니다. 더 이상 전화를 기다리는데 소중한 시간을 낭비하지 마시고 아래의 전문가와 빠르게 상담해 보시기 바랍니다.

 

 

 

 

 

 

 

 

 

같이 보면 좋은 글

 

직장인 투잡 시 납부해야 할 세금 알아보기

유튜브 채널 운영, 전자책 집필, 블로그 원고 작성 등등 직장인들도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돈을 벌 수 있는 방법이 무궁무진합니다. 하지만 투잡으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방법이 다양

bk2080.com

 

 

연차를 쓴 달에는 주휴수당, 연장수당 발생할까?

연차를 쓴 사용한 달, 사용한 주에는 주휴수당과 연장수당이 발생할까?라는 의문을 문득 들 때가 있습니다. 결론부터 이야기하면 연차를 쓴 주에는 주휴수당이 발생하고, 연장수당은 발생하지

bk2080.com

 

 

계약직 사원이 2년이상 근무했으면 정규직?-기간제법

계약직으로 1년째 근무하고 있는 직원이 있습니다. 업무상 계약직이 더 맞겠다고 판단하여 합의하에 계약직 형태로 함께 하고 있습니다. 일정 기간 이상 근무하면 무조건 정규직 전환을 해야 하

bk2080.com

 

반응형